맹물로 굶주린 배 채우고 160㎝의 손기정은 달리고 또 달렸다
20세기에 들어서 조선은 강제로 일본에 합방돼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1905년 보호조약이 그 서곡이었고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인은 일본의 식민지로 살아야만 했다.
그 암울했던 세월에 조선을 빛낸 사나이 중 한 명이 손기정이다.
그는 두 다리로 달리고 또 달려서 식민지 시절 고통받던 이천만 동포에게 큰 기쁨을 주었을 뿐 아니라 세계를 감동하게 했다.
키가 160㎝밖에 안 되는 스물네 살 조선 청년 손기정이 바로 그 사나이다.
그는 가까이 압록강이 흐르고 긴 둑이 보이는 신의주의 가난한 동네, 가난한 집 아들로 태어났다.
손기정이 태어나기 1년쯤 전 신의주와 단둥에 철교가 가설됐고, 그는 철교 밑을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손기정은 자서전에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다고 적어 놓았다.
소년 시절에만 가난했던 것이 아니다.
서울에 가서 양정고보에 다닐 때도 배고픈 세월을 보냈다고 스스로 고백하고 있다.
좀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그는 어려서부터 배고픈 자신을 달래기 위해 달리고 또 달린 것이었다.
배고픈 사람은 걷기도 어렵다는데 그는 맹물을 마셔가면서 굶주린 배를 채우고 달렸다.
그는 고향 집에서 소학교에 다닐 때도 오리 길을 달려서 가고 달려서 왔다.
전국 대회에 몇 번 나가 2등은 하는 실력 때문에 양정고보 입학이 가능했지만, 그 시절에도 어딜 가나 뛰어서 다녔지 걷는 일은 없었다는 청년이 손기정이었다.
1936년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을 때 독재자 히틀러는 독일의 총통이었다.
올림픽의 그 많은 종목 가운데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경기는 마라톤이다.
세계인의 시선이 집중돼 있고 히틀러도 그 경기장에 나와 있었다고 한다.
인종 문제에 관한 편견이 심하던 히틀러는 그 마라톤에서 가장 우수한 인종으로 그가 믿었던 아리안족, 특히 게르만족 선수가 1등으로 경기장에 들어오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1등으로 들어온 선수는 동양인이었다.
키도 작고 몸집도 가냘픈, 조그만 일장기를 가슴에 붙인 선수였다.
경기장에 들어서서 100m를 11초대에 달렸다고 하니 기적의 사나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는 '올림피아, 민족의 제전과 미의 제전'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대대적으로 홍보하였는데 20분 가까이 나오는 손기정의 영상을 보고 조선인들은 감격하였다.
손기정은 2시간 29분 19초라는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고 그뒤로 영국의 하퍼, 3등은 조선 청년 남승룡이었다.
이날 손기정 선수의 기록은 당시 인간으로서는 넘기 힘들다고 생각했던 마의 2시간 30분대를 넘어선 신기록이었다.
하지만 시상식에는 일장기가 오르고 일본 국가 기미가요가 흘러나왔다.
손기정은 머리에 월계관을 썼지만, 만세를 부르지도 않았고 시무룩한 표정으로 남승룡 선수와 땅만 바라보고 있었다.
그가 가슴에 단 일장기는 월계관으로 가려졌다.
호외를 통해 이 소식을 처음 전한 뒤 이튿날부터 ‘조선의 아들 손기정’ 시리즈를 발 빠르게 연재했던 동아일보는 일장기를 지운 사진을 실었다.
독자들은 크게 반겼지만 그 대가는 혹독했다.
동아일보는 무기정간을 당했고 기자는 투옥됐다.
손 선수는 일본의 감시를 받으며 경기 출전도 금지됐다.
해방 후에야 코치로 활동하며 서윤복과 함기룡 선수를 도와 보스턴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따는 데 기여했다.
칠십 대 후반의 나이에 한 번 우리 집에 와서 식사하였는데 그리 높지도 않은 우리 집 이 층까지 계단을 힘겹게 올라왔다.
젊어서 잘 달리고 세계를 놀라게 했던 그 청년이 걷기조차 어려워하는 노인이 된 것을 보고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인생이란 다 그런 것 아니겠는가.
내가 군사정권에 시달리며 감옥에 들락날락하던 때 무슨 일로 손기정을 만나면 다정한 목소리로 '김 교수, 고생이 많지요.'라고 한마디 위로의 말을 던지곤 하였다.
언제 만나도 그는 정의감이 강한 강직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풍겼다.
그를 기념하는 작은 공원이 만리동 양정고등학교 안에 있다.
손기정 이후 한국의 마라톤은 1947년과 1950년 보스턴마라톤에서 우승하고 1992년 56년 만에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황영조와 2001년 보스턴마라톤에서 이봉주의 우승으로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2012년 손기정 탄생 100주년 즈음에 태어난 새로운 후배가 또다시 베를린올림픽의 영광을 되살리는 준비를 하고 있을 것으로 나는 믿는다.
손기정은 모든 한국인에게 언제나 그립고 고마운 영웅이라고 생각한다.
글 김동길
'재미있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레 푼타 아레나스 '신라면 집' (0) | 2019.09.15 |
---|---|
젊어서는 열정으로 일하고 그 이후에는 베풀어야 한다 (0) | 2018.04.22 |
인센티브와 패널티 (0) | 2018.04.18 |
고수, 샹차이, 찌 y Cilantro (0) | 2018.04.17 |
캄보디아를 빛낸 당구 스타 스롱 피아비 (0) | 2018.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