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레

우리 민족의 보석 같은 시 정지용의 향수, 이동원, 박인수 노래

부에노(조운엽) 2013. 1. 23. 15:16

 

 

시인 정지용

 

 

우리 민족의 보석 같은 노래, 향수

 

 

"우리도 마침내 시인을 가졌노라" - 이양하

"시 아닌 것과 참말 시의 경계를 뚜렷이 했다" - 김기림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 중 하나인 향수-

어린 시절의 추억을 아름다운 언어로 녹여낸 시인-

한국 현대시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시인-

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시 언어의 마법사-

오늘날 우리가 일컫는 시인 정지용의 또 다른 이름들이다.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

돌담 밖에 시비가 서 있고, 그 앞으론 향수의 배경이 되었던 실개천이 흐르는 곳.

그곳에 시인 정지용의 생가와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배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사립문을 열고 들어서면 그 옛날 시인이 머물렀던 마당에 설 수 있다.

소박하지만 따스함이 느껴지는 이곳.

어미는 부엌에서 가마솥에 식구들 한 끼 밥을 안치고,

아비는 툇마루에 걸터앉아 짚을 꼬고 있는 정겨운 풍경이 어른거린다.

비록 지금은 옛 모습 그대로 간직하고 있지 못 하지만,

그 시절, 어린 시인의 눈에 비친 고향의 모습은 가히 눈부시도록 아름다웠으리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조름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시인 정지용은 140여 편의 시를 남겼다.

이 시대 모든 예인들이 그러하듯 그의 시에도 본인의 삶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또한, 카톨릭 교도로서 가질만한 보편적인 신앙을 시로 표현하기도 했고, 그가 보낸 어린 시절의 공간을 섬세한 언어로 묘사하기도 했다.

다양한 형식은 물론, 독특한 언어적 실험까지 이끄는 그의 시는 우리의 바다와 산, 시골과 도시 등을 지극히 아름답게 그려내고 있다.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러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정지용 생가의 사립문 앞에는 그 당시 개천에 놓여있던 돌다리가 고이 얹혀 있다.

물레방아와 더불어 향수를 그려내고 있는 청석.

동네 아이들이 물장구 치고 놀기도 하고,

아낙들이 도란도란 수다를 떨며 방망이질하던 곳이었겠지.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 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어쩌면 아름다운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았기에

그보다 더 눈부시고 빛나는 언어가 되어 우리 곁에 남아있을지도 모르지.

그의 섬세하고 따뜻한 시선이 문득 그리워진다.

 

 

 

 

 

"하늘에는 성근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 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꿈엔들 잊힐리야"

 

 

출처 : http://www.writerha.com/ 경아 님의 블로그

 

 

정지용한국의 대표적 서정시인이다.

아호는 지용(池龍)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납북 여부와 사인이 모호하여 한때 이름이 '정X용'으로 표기되고 그의 시가 금기시 되었으나, 1988년 해금되어 국어 교과서에도 수록되었다.

초기엔 모더니즘종교적(로마 가톨릭 교회) 경향의 시를 주로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보다는 널리 알려진 작품 향수에서 보듯이 후기엔 서정적이고 한국의 토속적인 이미지즘의 시를 발표함으로써 그만의 시 세계를 평가 받고 있으며 전통지향적 자연시 혹은 산수시라 일컫는다.

그의 대표 작품 중 향수는 1995년에 통기타 가수인 이동원박인수 서울대 교수가 듀엣으로 곡을 붙여 불렀으며, 이 노래는 앨범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에 실렸다.

 

출처 : 위키 백과

 

 

 

이동원, 박인수 노래, 향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