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장수 시대의 우울한 자화상 y Gracias a la vida, Violeta Parra

부에노(조운엽) 2017. 3. 31. 10:20







팔구십 대 부모 병원비에 은퇴 베이비붐 세대 ‘의료 파산’



회사원 윤 모(59) 씨는 주말마다 지방에 있는 요양원에 찾아간다.
거동하지 못하는 아버지(90)의 건강상태를 살펴보기 위해서다.
평소 정정하던 아버지는 일흔을 넘겨서도 청년처럼 건강했다.
그런데 여든 줄로 접어들자 뇌졸중이 찾아오더니 아예 몸을 쓰지 못하게 됐다.
침상에만 누워 있는 환자가 된 지도 벌써 삼 년째다.
아버지 병간호 비용은 고스란히 외아들인 윤 씨 몫이다.
노인성 질환을 인정받아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고 있지만, 식대·기저귓값을 포함하면 본인 부담금도 오십만 원이 넘는다.
이제 곧 퇴직하는 윤 씨로선 아버지 병간호에 자신의 노후자금을 쏟아붓고 있는 셈이다. 
윤 씨는 우리를 키우고 공부시키느라 노후 대비를 못 한 아버지는 가진 돈이 없어 내가 모든 부담을 떠안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팔구십 대와 이들의 자녀인 베이비붐 세대들이 ‘노후파산’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1955년에서 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부모들이 아흔 살을 넘어서면서 노후자금이 바닥나고 병간호까지 받게 되면서 ‘의료파산’에 직면하고 있다.
장수를 예상하지 못했던 세대였으니 연금은 물론 의료비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한 결과다.

이미 2015년 구십 세 이상 십오만 명을, 백 세 이상 삼천 명을 넘어서면서 의료파산의 폭탄이 본격적으로 터지고 있다.
 
자영업자 최 모(70) 씨는 자신이 이런 처지에 빠질 줄은 미처 생각지 못했다.

강원도 영월에 사는 아흔일곱 살인 노모의 치매 증세가 악화하면서다.
오 년 전 증세가 나타났을 때는 재택 병간호을 시도했다가 증세가 심해지자 아예 요양원에 입원시켰다.
최 씨를 비롯해 형제들도 사실상 현업에서 은퇴한 상태여서 노모 병간호하는 비용이 부담스러워지고 있다.


노후파산은 일본의 경험에 비추어봐도 이미 예견된 일이다.
일본은 1990년대까지 세계적 장수국가로 부러움을 샀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20%를 돌파한 초고령사회로 급진전하면서다.
노후 준비가 부족한 고령자는 빈곤층으로 전락하거나 생활비 보전을 위해 없는 일자리를 전전해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75세 이상 고령자는 건강수명을 다하면서 의료비 폭탄에 직면한다.
일본에서는 65세 이상 인구가 3,300만 명을 돌파해 인구의 26.7%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는 건강수명을 소진한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기대수명은 남자 81세, 여자 87세에 달하지만, 건강수명은 각각 71세, 74세에 그치고 있다.
오래 살기는 해도 남자는 10년간, 여자는 13년간 병원 신세를 진다는 뜻이다.
그 사이 노후자금은 바닥을 드러나게 된다.
노후파산은 이같이 십여 년의 여생을 의료와 요양에 쏟아붓는 사이 의료파산을 거치면서 현실화한다.
기력이 떨어지고 노인성 질환에 걸리면 전문의료인력의 돌봄을 받는 요양시설에 들어간다.
이곳도 노후자금 없이는 갈 수가 없다. 
 
이정환 실버 케어 커뮤니티 회장은 일본이 이 지경인데 노인빈곤율이 50%에 달하는 한국은 더 심각한 상황이 올 것이라며 팔구십 세까지 넉넉히 노후를 대비해야 노후파산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Gracias a la vida, Violeta Par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