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리요스 언덕, 이 언덕엔 전설이 있다. 전설적인 한 남자가 수도사가 뛰어 내리는 것을 재현하며 돈을 번다.
초리요스 언덕에서의 비상
콘도르의 비상인가, 나비의 날개 짓인가?
안개 자욱한 바닷가 언덕에서 바라보는 푸른 바다에 나이테를 그리는 고독한 추락이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이데올로기인 '사랑'이 검은 그림자로 흔들린다.
신은 그가 바다에 몸을 던져사람을지키는 것이 그의 영혼을 구하는 길이라 여겼던 걸까?
살똥떼 프라일러, 그 젊은 수도자는 외로운 항해를 떠난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섬을 찾아 콘도르의 날개를 펴고 가벼이 하강한다.
이제 초리요스 언덕에는 파도소리 대신 슬픈 몸짓의 바람만이 남아, 말을 건넨다.
상처가 아무는데는 온 만큼 돌아 갈 거리가 필요하다고, 그 거리에 서 보지 않은 자 침묵하라고.
한때 그 거리에서 아프게 바람을 맡던 내가, 상처 받은 수도자의 가슴이 일으키는 바람으로 다시 아득함을 만난다.
젊은 수도자여!
당신은 지금 천국에 이르렀을 것이오.
영원한 이데올로기를 신봉한아름다운 죄 덕분에.
“멀리, 나는 항해를 하고 싶어요.
여기 있다가 가버리는 백조처럼 사람은 땅에 묶여 있어요.
그는 세상에 내지요.
가장 슬픈 소리를, 가장 슬픈 소리를
나는 거리보다 숲이 되고 싶어요.
예, 그렇게 될 거에요.
그럴 수만 있다면 분명히 그렇게 될 거에요."
- 엘 콘돌 파사 노랫말 중에서 -
(여기부터는 저자가 라틴홀릭 카페와 세계엔n 라틴방에 돌렸던 초고입니다.)
글믄 지금부터 머리도 식힐 겸 전설 하나를 이야기 해 드릴게여~
무심한 파도만 출렁이는 이곳은 땅끝 언덕.
'초리요스'입니다.
멀리 보이는 바위가 이름하야~ '자살바위'입니다.
크~ '자살바위'란 이름만 들어도 슬픔이 마구마구 밀려 오지여~ ㅎㅎㅎ
글믄 지금부터 안타까운 전설을 야그 해 드리겄습니다.
(이 전설 부분은 무성 영화 시대의 변사가 된 기분으로 읽어주시와요~ 홍홍 ^.*)
검은 사제복을 입은 이 청~년 그 이름은 '쌀똥데 프라일러'!
그는 어떤 아리따운 아가씨와 사랑을 했다.
그런데 아~, 이거시 무슨 얄궂은 운명의 장난이란 말인~가!
알고보니 그녀는 이복 누이 동생!!!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그는 수도원으로 들어가 버리나
만나지 못하는 날이 지날수록
그 청년의 마음의 병은 더욱 깊어만 갔으니......
그리움을 도~저히 참을 길이 없던 청년은
드디어 수도원을 나와 그녀에게로 돌아오는데~
그는 이 바위에서
여동생이자 연인이 배를 타고 멀리 떠나는 것을 목격하게 되고.
아무리 두 손을 흔들며 그녀를 불러봐도
아아~ 야속한 그녀는 멀어져만 가는구나~
사랑없는 세상 더 살아서 무엇하랴~
그 청년은 이 바위에서 멀어져 가는 배를 바라보며
떨어지는 꽃잎처럼 바다로 몸을 날렸으니.......
.
.
.
.
.
.
.
.
"여러분~ 제가 바다로 몸을 날리는것 잘들 보셨지요? (우쭐~ 우쭐~)
저는 전설의 '쌀똥떼 프라일러'의 역을 하는 엘라로데 페르난도입니다.
여러분은 잘 모르겠지만 제가 떨어지는 곳은 바위들이 삐죽삐죽 나와있습니다.
그 바위와 바위 틈새를 잘 겨냥해서 떨어지지 않으면
무지~ 위험하답니다.
전 이 일을 29년째 하고 있구요~.
그래도 우야둥 행복합니다. ㅎㅎ
왜냐구요~ 제가 이런 일을 함으로써
우리 이쁜 마눌, 귀여운 딸과 알콩달콩 살 수 있기 때문이지요. ㅎㅎㅎ"
"자~ 우리 마눌과 딸네미입니다.
모두 한 미모 하지요? ^_______^
이 남자, 관광객들에게서 '달러($)'를 받자 마자 마눌에게 가서
돈을 모두 전해 주었습니다.
저 여인 가슴과 다리 사이에 낀 대바구니가 보이지요?
저게 돈 통입니다.
저 곳에 달러가 수북~~~ ㅎㅎㅎ.
참 행복해 보이는 가족이었습니다.
보는 나도 덩달아 므흣~ ^^
출처 : 라틴, 그 원색의 땅에 입맞추다 (Kiss in Latin), 임명자 저
'세계엔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s fotografias de 내 안의 수호천사 (0) | 2009.02.10 |
---|---|
내 안의 하얀 천사 (0) | 2009.02.08 |
무늬만여우공주 님과의 첫 만남 (0) | 2009.02.06 |
페루 국제 촌넘들의 국제 운전 면허증 내기 (0) | 2009.02.04 |
감사해요. 그리고 반가워요. ^^ (0) | 200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