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내가 아주 좋아하는 편집자가 있다.
잡지사에 있다가 독립해서 출판사를 차릴 때까지 연락을 주고받는 사이였다.
소식이 뜸하더니 몇 년 만에 연락이 왔다.
한걸음에 달려가 만날 정도로 반가웠다.
이런저런 이야기가 오가고 그동안 살아온 이야기도 나누었다.
그는 5년 반 동안 투 잡으로 살아왔다.
'그게 무슨 소리에요?' 물으니 그가 대답했다.
"닭 팔았어요."
한 가정을 책임진 가장인데 출판사에서 버는 돈으로 생계가 해결되지 않았다.
그래서 치킨집을 했단다.
아침에 출판사에 출근해 책을 만들다 오후 4시부터는 치킨집에서 일하고 새벽 1시에 문을 닫았다.
일 년에 두 번 명절날을 제외하고 하루도 쉬지 않고 일했다.
오토바이로 배달하다가 차에 부딪히는 바람에 무릎수술도 받았다.
배달이 밀릴 때는 학교 다니는 아이까지 동원됐다.
"그래도 내가 원하는 책을 만들 수 있어서 행복했어요."
그러면서 자기가 만든 책을 자랑스럽게 보여줬다.
누가 봐도 감탄할 만큼 장인 정신이 느껴지는 귀한 책이었다.
이런 책을 만들고 싶어서 그는 5년 반 동안 몸이 망가지는 것도 마다치 않고 투 잡을 했다.
이제 아이들이 다 커서 큰돈 들어갈 일이 없을 거 같아 보름 전에 치킨집을 정리했단다.
책 만드는 일에 전념하고 싶어서다.
가게 정리 후 열흘 동안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기만 했다.
그리고 지난주부터 필자들에게 연락하기 시작했단다.
진짜 하고 싶은 행복한 일을 시작한 것이다.
김경민 씨의 조각작품 '여행을 꿈꾸는 자'에는 설렘이 담겨있다.
여행자는 똑딱이 카메라를 들여다보며 빙그레 미소 짓고 있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꿈을 먹고 산다.
지금 힘들더라도 원하는 일을 하겠다는 꿈.
그 꿈이 있는 한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긍정적일 수 있다.
그 편집자처럼, 여행을 꿈꾸는 그처럼, 나도 꿈을 꾸며 살아야겠다.
조정육 님, 미술사가
네 꿈을 펼쳐라, 양희은
'꼬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소월 시 못 잊어, 장은숙 y 법의학자 (0) | 2013.01.30 |
---|---|
고귀한 선물, 장은아 y 식물이 역사를 뒤집다 (0) | 2013.01.30 |
아침이슬, 양희은 y 요절한 시인 기형도 (0) | 2013.01.29 |
나윤선의 정선 아리랑과 한국 마라톤 (0) | 2013.01.26 |
우리 민족의 보석 같은 시 정지용의 향수, 이동원, 박인수 노래 (0) | 201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