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72

해적선

Pirates of the Caribbean ​ ​ 해적선 ​ ​ 음악 :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OST, He’s a pirate https://www.youtube.com/watch?v=dW3_gzvh5vI ​ ​ 사람이 배를 만들어 물건을 실어나른 이래로 해적이 자연스럽게 생겼다. 해적은 남의 배에 제멋대로 올라와 돈과 화물을 빼앗고 사람을 다치게 하는 강도를 말한다. 산에는 흉악한 산적, 말 타고 다니는 도둑놈은 마적, 바다에는 난폭한 해적이 있었다. 해적이 언제부터 나타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기록에 남은 가장 오래된 해적은 고대 이집트 나일강 하구에서 세금 받는 관리가 탄 배를 습격한 도둑이라고 한다. ​ 문명이 시작된 이래 해상 무역이 국가 간 경제활동의 주요 수단이 되면서 해적들은..

사르가소해 무풍지대

멕시코만 부근에서 한 잠수부가 바닷말 덩어리 아래를 지나가고 있다 ​ ​ 사르가소해 무풍지대 ​ ​ 해풍은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해가 지구를 뎁히면 바다보다는 육지가 더 따뜻해져 더운 공기가 위로 올라간다. 그 때문에 육지에서는 상승기류가 일어나 그걸 메꾸려고 바람이 바다에서 육지로 분다. 이것을 해풍이라 한다. 해풍 등 바람의 이동은 기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대항해시대 범선은 편서풍이나 무역풍 등을 타고 항해를 했다. 바다에서 바람이 불지 않는 곳을 무풍지대라 한다. 바람의 힘으로 항해하는 범선의 경우 역풍보다 못한 게 바로 이 무풍이다. 역풍이 불면 지그재그로 가는 거라도 가능하지만, 무풍지대에는 해류까지 흐르지 않으면 제자리에 서 있을 수밖에 없다. ​ 적도 바다는 파도..

유령선이라는 게 정말 있을까?

영화 유령선 ​ ​ 유령선이라는 게 정말 있을까? ​ ​ 주인 없는 빈 배가 으스스하게 바다에 혼자 떠다닌다. 돛이 부러져 있고 찢어진 깃발이 바람에 휘날린다. 사람 해골도 걸려있는 것 같다. 그런 유령선을 소재로 한 공포 영화나 만화가 여러 편 나와 있다. ​ 대항해시대에는 주로 범선이 다녔는데 그 배는 바람이 불어야만 움직인다. 바람이 불지 않으면 한바다에 그냥 며칠이고 바람 불 때까지 멈춰 서있어야 한다. 그게 아주 길어지면 물과 식량이 떨어져 굶어 죽을 수도 있다. 그렇게 무풍지대에서 선원들이 다 죽고 배는 혼자 정처 없이 떠돌아다닌다. 꼭 선원들이 배 안에서 죽지 않았더라도 무풍지대에서 탈출하려고 노를 젓는 구명정으로 옮겨타 육지를 찾아가다가 모두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난파선과는 개념이 다르다..